2022년 11월 1일 회사에 입사하게 되었다. 보안/인프라팀으로 오게되서 백엔드를 공부하면서 인프라까지 배울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지게되었다. 인프라에 대해서 참 어려움을 많이 느꼈지만 어찌저찌.. 서버끼리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차차 알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처음에 와서 가장 먼저 본것을 로그인 관련 업무였다. 신입한테 이런 일을 준다는 것이 이례적인 일이라고 다들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오래된 서비스의 로그인을 개선한다는것은 역시 신입한테는 어려운 일이었지만 SESSION로그인에 관해서 많은 것을 배우고 공부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채팅 관련 업무도 시작하게 되었는데 SOCKET 보안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하지만 역시 로그인이다보니 많은 회의와 팀장님들끼리 의견 충돌이 많았다 그래서 결국 다른 업무를 할당받게되었다.
현재는 다른 업무들을 보고있는데 node.js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다양한 통계 DATA와 SSO 로그인 관련 작업들 그리고 RSA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식, 자주 쓰이는 API 에 관한 swagger 페이지 구축 및 배포 최근 한달간 많은 작업들을 하게되었다. 업무를 하면할 수록 나의 부족함이 더욱 많이 보인다. SQL문을 어떻게 하면 더 좋은 성능을 보이게 할 수 있을지.. RSA 암호화 기술은 어떻게 활용이 되고 R&D는 어떻게 보통 하는지 .. 노드에서 스웨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그 속에서도 많은 서버 구축과 에러 많은 일들이 있었다.
회사 블로그에서는 열심히 공부한 내용들을 정리해가며 공부했는데 아무래도 개인 공부에 너무 게을리 한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해서 후회를 하지는 않는다. 매일 야근을 하면서 개인 공부를 계속해서 해왔기 때문에 블로그를 하지 못했다는 것에 대해서 너무 질책하지 않으려한다.
하지만 앞으로 여태 공부했던 것들에 대해서 하나하나 개인 프로젝트에 담아 블로그를 써내려가보려고 한다.
우선
1. RSA 와 관련된 코드 및 활용방법
2. JMETER의 활용 방법
3. SSO 로그인에 관하여
4. SQL 쿼리에 대한 개인 공부
5. SWAGGER의 활용
6. AWS API-GATEWAY + LAMBDA 의 활용
에 대해서 차근차근 다시 공부하면서 정리하고
데브옵스와 관련된
1. CI/CD PIPELINE
2. 도커 + 쿠버네티스
3. NGINX
등등 많은 부분에 대해서 나만의 방식으로 재정리할 예정이다.
node, spring boot 양쪽의 코드가 많이 다르다 하면
둘 다 정리 해볼수 있으면 좋겟다.
댓글 영역